Developement/Toy Project2 Flask로 가볍게 네이버 로그인 API 구현해보기 요즘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깃헙 등에서 제공하는 00으로 로그인하기 버튼을 본적이 꽤 있을 것이다. 이런 인증방식은 Oauth2.0이라고 부르며, 로그인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만 어디서 Client코드가, 어디서 Server 코드를 작성해야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기 마련인데 Simple하게 구현해보기 위해서 Flask로 한번 구현해보자 (Flask를 해보진 않았어서, 한번 공부겸해서 구현해본다) 먼저 네이버로 로그인하기 API 명세이다. https://developers.naver.com/docs/login/devguide/devguide.md#3-4-%EB%84%A4%EC%9D%B4%EB%B2%84-%EB%A1%9C%EA%B7%B8%EC%9D%B8-%EC%97%B0%EB%8F%99-%.. 2022. 4. 12. Python웹서버 - Fastapi 가볍게 두드려보기 우연히 Go와 성능이 비슷하다는 Fastapi를 접하고 나서 주말에 시간 여유를 내서 가볍게 두드려본다. FastApi fastapi.tiangolo.com/ FastAPI FastAPI FastAPI framework, high performance, easy to learn, fast to code, ready for production Documentation: https://fastapi.tiangolo.com Source Code: https://github.com/tiangolo/fastapi FastAPI is a modern, fast (high-performance), web framework for buil fastapi.tiangolo.com 일반 html이 서빙이 가능하도록 일단은 .. 2021. 5. 1. 이전 1 다음